■ 진행 : 김영수 앵커, 강려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장영근 / 항공대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미사일 지침 개정에 따라 앞으로는 고체연료 로켓을 우리 기술로 만들어서 쏠 수 있게 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개정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장영근 항공대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 장 교수님, 나와 계십니까? <br /> <br />[장영근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. 청와대 발표를 요약해 보면 액체연료로만 쏠 수 있었던 그리고 만들 수 있었던 발사체를 고체연료 엔진로켓으로도 만들 수 있게 됐다는 거 아닙니까? <br /> <br />그러면 실제 우주로켓을 쏠 때 어떻게 달라지게 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장영근] <br />지금 통상적으로 보면 사실 발사체 그러니까 인공위성 발사체로 쓰는 건 대부분 다 액체로켓을 많이 썼고요. <br /> <br />최근에는 고체로켓이 아까 기자분이 설명하신 것처럼 비교적 구조가 단순합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보통 액체로켓을 우리가 엔진이라고 하는 건 그 안에 연료실이라든가 펌프라든가 터바인이라든가 이런 게 다 필요한 거고요. <br /> <br />고체로켓은 엔진이라고 안 하고 모터라고 합니다. 그러니까 그 이야기는 무슨 이야기냐면 그냥 굉장히 구조가 단순하죠. <br /> <br />연소실 안에 고체덩어리에 연료와 산화제가 뭉쳐 있으면 그걸 점화를 시키면 추력이 나오는 거거든요. <br /> <br />현실적으로 고체로켓이 제작하기도 작을 경우에는 단순하고 그리고 사용하기에도 굉장히 액체로켓보다는 메커니즘이 복잡하지 않죠. <br /> <br />그래서 최근에는 저궤도 발사체용으로는 여러 가지 고체 추진제 위성발사체가 나와 있죠. 이태리의 베가라든가 인도의 PSLV라든가 이런 것들이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사실 위성은 우리가 만들기는 했지만 발사로켓은 주로 해외 로켓 기술자에 의존을 했거든요. <br /> <br />그럼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우리 손으로 직접 로켓을 만들어서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게 된 겁니까? <br /> <br />[장영근] <br />발사체를 만든다는 게 미사일도 그렇지만 간단하지는 않고요. 우리가 이제 기본적으로 고체 추진제 로켓 기술은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어요. <br /> <br />왜냐하면 현무미사일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까? 그런데 그게 고체추진제 로켓으로 구성돼 있어요. 그래서 예를 들면 저는 계산은 아직 못 해 봤지만 실질적으로 기존에 가지고 있는 로켓 모터 크기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72816020811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